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Python
- GitHub Desktop
- Pro-Con
- LeetCode
- 취준
- 제노블레이드 2
- C++
- 프로그래머스
- DP
- Github
- Algorithmus
- 리트코드
- 백트래킹
- Ultimate Search
- 격리수준
- 프로콘
- SRE
- programmers
- python3
- 코딩테스트
- 프로콘 갈림현상
- git
- 자소서
- 알고리즘
- ASF-110
- 백준
- algorithm
- 알고리즘 종류 정리
- 네이버 검색 시스템
- baekjoon
Archives
- Today
- Total
산타는 없다
CHAPTER 04 : 복합 데이터형 (.5 ~ 본문
반응형
- 4.5 공용체
- 서로 다른 데이터형을 한 번에 한 가지만 보관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
- 여러 데이터형을 보관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이지만 한 시점에 어느 한 가지만 보관할 수 있다.
- 공용체의 크기는 가장 큰 멤버의 크기가 된다.
- 익명 공용체 : 이름이 없는 공용체로, 본질적으로 익명 공용체의 멤버들은 동일한 주소를 공유하는 변수들이 된다. 당연히 한 번에 한 멤버만 사용할 수 있다.
- 공용체는 운영 체제나 하드웨어 데이터 구조에 자주 사용되기도 한다.
- 4.6 열거체 (enum)
- 열거체는 대입 연산자만 사용하도록 정의되어 있다. 특히, 산술 연산이 허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C++는 이 제한을 지키지 않는다.
- 4.7 포인터와 메모리 해제
- 주소 연산자(&)를 변수 앞에 붙이면 그 변수의 주소(참조값)을 알 수 있다.
- 간접값(indirect value) 연산자 또는 간접 참조(dereferencing) 연산자라고 부르는 *를 포인터 이름 앞에 붙이면 그 주소에 저장되어 있는 값이 된다.
- 그냥 주소값만 넣으면 되는것이 아니라 데이터형이 일치해야 한다.
- new를 사용한 후에는 반드시 나중에 delete를 사용해야 한다. (new[]라면 delete[])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