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ASF-110
- 코딩테스트
- 네이버 검색 시스템
- algorithm
- programmers
- Pro-Con
- DP
- 격리수준
- 리트코드
- 프로콘 갈림현상
- 백트래킹
- Algorithmus
- Github
- 백준
- 자소서
- Python
- 제노블레이드 2
- GitHub Desktop
- git
- baekjoon
- C++
- Ultimate Search
- 취준
- 프로콘
- LeetCode
- python3
- 프로그래머스
- 알고리즘 종류 정리
- 알고리즘
- SRE
Archives
- Today
- Total
반응형
목록네이버 검색 시스템 (1)
반응형
산타는 없다
네이버의 SRE(Search Reliability Engineering) 시스템
본 게시글은 NAVER Engineering의 [ Search Reliability Engineering (부제: 지진에도 흔들리지 않는 네이버 검색시스템) ] 을 보고 정리하였습니다. 1. 들어가며 SRE란? 글로벌 스케일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어떻게 하면 시스템의 신뢰성을 보장할지 고민하는 기술 분야이자 방법론, 문화 보통의 SRE는 Site Reliability Engineering이지만 네이버 내부에서는 Site가 아닌 Search로 바꿔서 부름 네이버 검색시스템의 목표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검색어를 입력해도 서비스에 문제가 없어야 한다. - 대용량 처리 (High Throughput) 네이버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하면 1초안에는 결과가 나와야 한다. - 짧은 대기시간 (Low Latency) →..
개발자 컨퍼런스/네이버
2021. 1. 24. 00:18